양주시, 현장 간부회의 열어 2030 양주 공업지역 기본계획 수립 ‘집중 점검’나서..
이건구기자 | 입력 : 2023/05/23 [15:32]
▲ 양주시, 2030 양주 공업지역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현장 간부회의 (사진제공=양주시청)
|
경기 양주시(시장 강수현)가 23일 광적면 가납리 능안교차로 일대에서 강수현 시장 주재로 금철완 부시장, 간부공무원 등 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‘2030 양주 공업지역 기본계획 수립’을 위한 현장 간부회의를 열었다.
이날 강 시장은 시 산업혁신구역 후보지 중 하나인 가납2 준공업지역이 위치한 광적면 능안교차로 일대에서 기본계획 수립 용역 추진현황, 향후 계획 등 전반적인 진행상황에 대한 담당 과장의 보고를 청취하고 주요 개선·보완사항을 검토했다.
공업지역 기본계획은 ‘도시 공업지역의 관리와 활성화에 관한 특별법’(2021. 1. 15.) 제정에 따른 법정 의무 사항으로, 시 내 산업단지를 제외한 공업지역 전체 총 25개소(2.54㎢,)를 대상으로 2030 양주 공업지역 기본계획을 수립하게 된다.
기본계획 수립 목표연도는 2030년이며 기초조사 후 공업지역의 유형별 관리방향(산업혁신형, 산업정비형, 산업관리형) 설정, 산업혁신구역 및 산업정비구역 후보지 발굴, 유형별 건축물에 관한 기본방향· 지원기반시설 기본방향·환경관리방향 등의 주요 내용이 담길 예정이다.
시는 공업지역 기본계획 수립 완료 후 발굴된 후보지 등에 대해서 산업혁신구역으로 지정할 수 있으며, 산업혁신구역에는 입지규제최소구역 동시 지정에 따른 건폐율·용적률 등 완화, 입주기업 등 지원대책, 사업시행자 각종 부담금 감면 가능 등 각종 인센티브가 부여된다.
끝으로, 강 시장은 “산업단지로 관리되고 있는 지역 외 일반공업지역은 국가산업경제, 일자리 거점 공간임에도 별도의 관리방안이 미흡해 기반시설 등 도시 환경이 열악하다”며 “공업지역 기본계획을 통해 체계적으로 공업지역 정비·관리될 수 있도록 내실 있는 기본계획을 수립하는 한편, 유휴부지, 대규모 공장 이전 부지 등에 기업유치 방안 마련 등 실효성 있는 계획을 추진할 것"을 당부했다.
한편, 시는 공업지역 기본계획(안)을 마련, 주민·시의회 의견 청취와 관련 기관(부서) 협의, 시 도시계획위원회 심의를 거쳐 오는 2024년 4월 중 최종 공고할 방침이다.
<저작권자 ⓒ 경기북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>
 |
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, 욕설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
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 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. |
|